본문 바로가기

흑곰 코치의 Hot Issue !!!

전체 가구 소득의 절반은 상위 20%가 벌었다

 

 

 

 

2012년 가계금융·복지조사

 

전체 가구가 벌어들인 소득의 절반가량이 소득 상위 20%에서 나온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연간 소득이 3000만원 미만인 가구가 전체의 40%를 넘는 등 소득 양극화의 골이 깊어지고 있다

 

■평균 가구소득 4233만원

 

21일 한국은행과 금융감독원, 통계청의 '2012년 가계금융·복지조사'에 따르면 지난해 평균 가구소득은

 

4233만원이다. 소득 분위별로 보면 상위 20%인 5분위(1억65만원)가 하위 20%인 1분위(758만원)의 13배였다.

 

2분위가 1988만원, 3분위 3330만원, 4분위는 5021만원이다.

소득점유율은 5분위 47.6%, 4분위 23.7%, 3분위 15.7%, 2분위 9.4%, 1분위 3.6%였다. 전체 가구소득이

 

100이라면 이 중 50 가까이가 상위 20%에 귀속됐다는 의미다.

평소 취업자의 평균 개인소득은 2826만원이고 자영업자(3515만원), 상용근로자(3488만원),

 

임시·일용근로자(1203만원)순이었다. 평소 취업자는 1년간 취업개월과 구직개월의 합이 6개월 이상인 자 중

 

취업개월이 구직개월보다 긴 사람을 말한다.

지난해 가구당 평균 가계지출은 3069만원이다. 이 중 소비지출은 2311만원이었다. 식료품이 643만원(27.8%)으로

 

가장 많았고 교육비 348만원(15.1%), 주거비 293만원(12.7%) 등을 중심으로 지출이 발생했다.

특히 교육비 지출에서 더욱 극명하게 드러났다. 소득 5분위별로 1~3분위는 식료품, 주거비 지출이, 4~5분위는

 

식료품, 교육비 지출이 높았다. 교육비 지출액은 5분위(868만원)가 1분위(31만원)의 28배에 육박했다.

 

비소비 지출은 공적연금 및 사회보험료(31.3%), 세금(25.1%) 등의 순이었다.

■가계재무건전성 개선

다만 가계 재무건전성은 가처분소득 증가로 다소 개선됐다.

지난 3월 말 현재 우리나라 전체가구의 자산 대비 부채 비율은 16.8%, 저축액 대비 금융부채 비율은

 

63.8%로 나타났다.

올해 신규 조사한 항목을 제외하고 지난해와 동일한 기준으로 비교하면 자산 대비 부채비율은 17.3%,

 

저축액 대비 금융부채 비율은 67.5%로 전년보다 0.1%포인트, 4.1%포인트 감소했다.

가처분소득 대비 금융부채 비율은 103.6%, 가처분소득 대비 원리금상환액 비율은 17%로 전년보다 6%포인트,

 

1.3%포인트 각각 줄었다.

이는 금융부채(0%) 및 원리금상환액(-1.7%)보다 가처분소득(5.8%) 증가가 상대적으로 높은 데 기인한 것으로

 

한은은 분석했다.

소득 5분위별로 가처분소득 대비 금융부채 비율을 보면 2분위가 114.6%, 가처분소득 대비 원리금상환액 비율은

 

3분위가 18.5%로 각각 높게 나타났다.

특히 금융부채를 보유한 가구 중 18.4%는 지난 1년 중 원금상환 또는 이자지급의 납부기일을

 

경과한 적이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납부기일 경과 이유로는 '소득 감소'가 30.3%로 가장 많고 '자금융통 차질'(22.2%),

 

'이자 또는 원금상환 부담 상승'(17.6%), '납부기일 착오'(14.9%) 등의 순이었다.

■노인층 중심 빈곤율 심화

한편 지난해 가처분소득을 기준으로 작성한 빈곤율은 16.5%였다.

빈곤율이란 가처분소득을 기준으로 중앙값의 50%에 해당하는 빈곤선 아래에 있는 인구 비율이다.

 

난해 가처분소득의 중앙값은 1996만원이었으며 이 값의 절반인 998만원이 빈곤선으로 설정됐다.

특히 65세 이상 노인층은 절반에 가까운 49.4%가 빈곤상태였다.

이는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회원국의 노인층 빈곤율 평균인 13.5%보다 네 배에 가까운 비중이다.

조부모와 손자녀가 사는 조손가구의 빈곤율은 59.5%였으며 장애인가구, 한부모가구, 다문화가구순으로

 

빈곤율이 높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