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가계부채

가계건전성 `위험단계' 추락 건전성지수 3년째 하락…기준점 아래로 곤두박질 "가계부채 질적 악화…과감한 채무조정 필요" 신용평가사가 매긴 우리나라 가계의 건전성이 `위험단계'로 주저앉았다. 제때 빚을 갚지 못한 `불량 대출자'도 늘었다. 코리아크레딧뷰로(KCB)는 19일 우리나라 가계의 건전성을 보여주는 `가계신용건전성동행지수'가 3년 연속 하락하며 기준선 아래로 떨어졌다고 밝혔다. KCB가 자체 신용평가 자료와 한국은행, 금융감독원, 한국개발연구원(KDI)의 각종 경제지표를 적용해 개발한 이 지수는 올해 1~6월 평균 99.73을 기록했다. 2010년 101.12, 2011년 100.49로 하락세를 보이다 결국 적정수준이라고 평가되는 100 아래로 주저앉은 것이다. 가계의 건전성이 꾸준히 악화해 위험단계에 진입했다는 의미다. 저신.. 더보기
가계빚 부실채권비율 6년만에 최고 수준 [집값하락에 따른 집단대출 부실 탓…올해 부실채권 목표비율 달성에 '빨간불'] 가계여신 부실채권비율이 6년 만에 최고 수준으로 치솟았다. 집값하락에 따른 분쟁이 증가하면서 아파트 중도금 대출 등 집단대출 부실채권이 늘어났기 때문이다. 금융감독원은 지난 9월 말 기준 가계여신 부실채권비율이 0.8%로 집계됐다고 7일 밝혔다. 부실채권비율이란 총여신 대비 고정이하여신의 비율이다. 이는 지난 2006년9월 말 0.81% 이후 6년 만에 최고치(분기 말 기준)다. 주택담보대출 부실채권비율도 0.76%로 지난 2006년3월 말 0.82% 이후 6년 반 만에 최고 수준을 기록했다. 부실채권비율을 끌어올린 건 집단대출 부실이다. 집값이 떨어지자 분양가가 시세보다도 비싼 아파트들이 속출했고 입주를 거부하는 분양자가 소.. 더보기
가계부채 폭탄, 째각 째각 째각 집값 떠받치기와 가계부채 폭탄돌리기에만 혈안인 정신나간 MB 정부… 대선후보들, 단계적으로 부동산 거품 빼나갈 마지막 기회 놓치지 말길 이명박 정부가 내놓은 각종 주택 및 부동산 정책은 단기 부양책 일색이었다. 심지어 수도권 아파트 전매제한 완화 등 투기 조장책에 가까운 정책도 있었다. 수조원의 세금이나 공기업 자금을 동원해 건설업체 미분양 물량을 사들였다. 각종 다주택 투기자들을 위한 감세정책 등 부동산 부자들을 위한 정책이 넘쳐났다. 아직도 40%를 넘는 무주택 서민들을 위한 정책은 눈 씻고 찾아봐도 없었다. 가계소득이나 인구구조 변화 등에 발맞춰 중·장기적으로 한국 사회의 주택정책이 어떤 방향으로 나아가야 할지에 대한 고민은 찾아보기 어려웠다. 오로지 집값 떠받치기에 목을 맨 정책 기조였다 가계부채.. 더보기
깡통아파트 34만 가구 해법 못 찾는 가계부채 “전·월세금 합치면 가계빚 최대 1600조” “가계부채, 위험도 따지면 최고 5점 중 현재 4점” 대선후보들 대책 내놓지만 “막연하고 부작용 많다” 지적 가계부채 경보음이 한층 커졌다. 대출금과 전세금이 집값의 70%를 넘는 '깡통주택'이 전국에 34만 가구나 되는 것으로 분석됐다. 부채로 잡히지 않는 전세금을 포함하면 가계부채가 1600조원에 달한다는 주장도 나온다. 그럼에도 눈에 띄는 대책은 아직 보이지 않고 있다. 가계부채의 규모와 폭발성을 두고 정부 부처 사이에서도 이견이 있기 때문이다. 총론보다 각론에 치우친 대선 주자들의 공약도 혼란을 부추기고 있다. 키움증권은 22일 “가계부채 통계에 잡히지 않는 전·월세 보증금 등을 합하면 한국의 가계부채 총액은 1600조원에 달하는 것으로 추정된다”고 주.. 더보기